본문 바로가기
건강-healthbear

ADHD, 연령별 증상부터 치료·생활 관리까지 한눈에(영‧유아·초등·성인까지 증상‧치료‧생활관리)

by healthbearstory 2025. 7. 29.
반응형

요즘 유아부터 성인까지 많은 사람들이 주의력결핍 행동장애, 즉 ADHD 증상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. 치료하지 않으면 심할 경우 우울증이 심하게 와 자살까지 할 수 있다는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(ADHD), ADHD는 무엇이고 나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, 영‧유아, 초등, 성인 각 증상·악화 시 위험·치료법·생활관리·예방까지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.

1. ADHD란?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(Attention‑Deficit/Hyperactivity Disorder)는 DSM‑5‑TR 기준 만성적인 부주의·과잉행동·충동성이 발달 수준에 부합하지 않게 6개월 이상 지속돼 기능 손상을 초래하는 신경발달질환이다[1].

반응형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
2. 나이별 주요 증상 차이

연령 핵심 특징 주요 행동 예시
유아(3–5세) 과다행동 우세 가만히 못 앉음, 물건 던지기, 위험 감수 높음[2]
초등(6–12세) 부주의+충동 수업 집중↓, 과제·물건 잦은 분실, 친구 대화 중 끼어듦
청소년(13–17세) 내적 안절부절·시간관리 어려움 지각·숙제 미제출, 게임 과몰입, 위험운전 시도
성인(18세↑) 조직·계획 실행력 저하 마감 지키기 어려움, 충동쇼핑, 직장 대인갈등[3]

 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
3. 치료 없이 방치 시 어떻게 악화될까?

  • 학업·직장 실패 — 중도 탈학교율 30 %, 실직 위험 2.5배[4]
  • 중독·위험행동 — 청소년 ADHD의 25 %가 니코틴 의존, 교통사고 1.8배↑
  • 우울·불안 동반 — 50 % 이상이 기분장애 동반, 자살 시도율 2–3배[5]
  • 관계 붕괴 — 이혼율·양육갈등·직장 징계 증가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
4. 치료는 가능한가? ─ ‘복합 접근’이 표준

4‑1. 약물치료

  • 메틸페니데이트(MPH) — 중추 자극제 1차 선택, 증상 개선률 70 %[6]
  • 아토목세틴/빌옥세진 — 비자극제, 불면·틱 동반 시 대안
  • 부작용 : 식욕↓·불면·심박↑, 의사 모니터링 필수

4‑2. 비약물치료

  1. 행동 수정(PTBM) — 부모·교사가 강화계획 수립
  2. 인지행동치료(CBT) — 성인·청소년 조직 기술·감정 조절 훈련[7]
  3. 사회기술훈련(SST) — 친구 관계·직장 팀워크 개선
  4. 신경피드백 — 연구 중 단계, 일부 집중력 지표 향상 보고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
5. 일상관리 & 예방법

5‑1. 어린이·부모

  • 밤 9시 취침, 주말 유지 → 수면 부족이 충동성 강화
  • 시각 계획표(그림·아이콘) → 과제 분할, 완료 시 즉각 칭찬
  • 10분 ‘동적 휴식’ 룰 → 학습 30min 후 줄넘기·스트레칭

5‑2. 성인

  • 2‑minute rule — 2분 내 끝낼 일 즉시 처리, 미루기 방지
  • 디지털 Kanban 보드 (Trello·Notion) → 작업 단계화
  • 오메가‑3 EPA 1g·마그네슘 300 mg → 인지·기분 보조[8]
  • 카페인·알코올 오후 2시 이후 제한, 불면 예방
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

6.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?

부주의·과다행동이 2개 이상 환경(가정+학교/직장)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고, 학업·직무·대인기능이 손상될 때 소아청소년 정신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평가를 권한다.
— 미국소아과학회(AAP) 지침 2023[9]

7. 참고·출처

  1. [1] DSM‑5‑TR(APA, 2023) ADHD 진단 기준.
  2. [2] Huang L et al. “Preschool ADHD Phenotype” J Child Psychol Psychiatry 2022.
  3. [3] Kooij JJS et al. “Adult ADHD: Update 2023” World Psychiatry.
  4. [4] Barkley RA. ADHD in Adults (3rd ed.), Guilford, 2021.
  5. [5] Chang Z et al. “ADHD & Suicide Risk” JAMA Psychiatry 2020.
  6. [6] Faraone SV. “Medication Efficacy Meta‑analysis” Mol Psychiatry 2023.
  7. [7] Safren SA. “CBT for Adult ADHD” Oxford Press 2022.
  8. [8] Bloch MH. “Omega‑3 in ADHD” Neurotherapeutics 2021.
  9. [9] 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. “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DHD” 2023.

본 글은 2025‑07‑29 현재 국내·국제 가이드라인과 학술논문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. 진단·치료는 전문의 상담이 우선입니다.

반응형